Summary
Korean summary
한국 성인의 39.4%는 수면의 질(피츠버그 수면의 질 지수(PSQI) 기준)이 낮았다. 성별 및 연령에 따라 흡연과 수면의 질 사이의 관련성은 다르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65세 이하의 여성에서 흡연은 수면의 질 악화와 관련성이 있었으나, 남성 또는 65세 이상 여성에서는 흡연과 수면의 질 간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Key Message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sleep, it is necessary to intervene smoking cessation along with solving psychological problems, especially female in middle age and younger.